본문 바로가기

국내여행/금비산

제천 의림지와 탁사정



삼한시대의 유물

의림지(義林池) 국가명승 제20호

제천10경 중 제1경인 의림지는 삼한시대에 축조한 김제 벽골제, 밀양 수산제와 함께 우리나라 최고의 저수지로 본래 ‘임지’라 하였다. 고려 성종 11년(992)에 군현의 명칭을 개정할 때 제천을 ‘의원현’ 또는 ‘의천’이라 하였는데 그 첫 글자인 ‘의’자를 붙여 의림지라 부르게 되었다. 축조된 명확한 연대는 알 수 없지만, 구전에는 신라 진흥왕(540~575) 때 악성

우륵이 용두산(871m)에서 흘러내리는 개울물을 막아 둑을 만든 것이 이 못의 시초라 한다.
그 후 700년이 지나 현감 ‘박의림’이 4개 군민을 동원하여 연못 주위에 돌을 3층으로 쌓아 물이 새는 것을 막는 한편 배수구 밑바닥 수문은 수백 관이 넘을 정도의 큰 돌을 네모로 다듬어 여러 층으로 쌓아 올려 수문 기둥을 삼았고 돌바닥에는 박의림 현감의 이름을 새겨다고 하며  현재는 수리시설보다는 유원지로서 그 명성을 더해가고 있는데,

2006년 국가명승 제20호로 지정된 경승지로 호수 주변에 순조 7년(1807)에 새워진 '영호정'과 1948년에 건립된 ‘경호루’ 그리고 수백 년을 자란 소나무와 수양버들, 30m의 자연폭포 ‘용추폭포’ 등이 어우러져 풍치를 더하며, 호수 주변에 목책 길과 분수와 인공폭포를 설치하여 의림지를 관망하며 산책하기에 좋다. 
우리나라 3대 악성의 한 분이며 가야금의 대가인 '우륵' 선생이 노후에 여생을 보낸 곳으로도 알려져 있으며 가야금을 타던 바위 우륵대와 마시던 '우륵정'이 남아 있다.(제천 문화관광소개)






의림지 전경



제천시 캐릭터 박달신선과 금봉선녀





2019 제천국제음악영화제





오리배 선착장


전망정자




의림지 물넘이 계곡





의림지분수와 나무다리




인공폭포







경 호 루





의림지 노송












영 호 정











우 륵 정



우 륵 대




우 륵 샘






 의림지를  한바퀴(약1.5km) 도는데는 한시간 정도 소요되며 날이 가물어서 그런지 저수량이 적어서 보기가 별로인데 물이 가득차면 풍경이 대단할것 같네요  


의림지역사박물관

의림지역사박물관은 매주 월요일은 휴관일이라 관람하지 못했어요


|


제천근교의 여름 피서지

탁사정(濯斯亭)

원주에서 제천으로 들어오는 국도변에 한 폭의 그림처럼 자리 잡은 탁사정은 조선 선조 19년(1568) 제주 수사로 있던 임응룡이 고향으로 돌아올 때 해송 여덟 그루를 가져와 심고 이곳을 팔송이라 하였다. 그의 후손 윤근이 1925년 선조를 기리어 정자를 지었다.

탁사정’은 중국 초나라의 굴원이 지은 어부사에 나오는 '창랑지수청혜 가이탁아영(창랑의 물이 맑으면 내 갓끈을 씻고) 창랑지수탁혜 가이탁아족창랑의 (물이 더러우면 내 발을 씻는다)' 에서 유래 하였다고 전해진다. 세상의 먼지를 깨끗하게 씻고 고고한 인격을 지키며 세상일로 너무 지쳐있다고 느낄 때 탁사정에 오르면, 가슴 깊이 파고드는 시원한 솔바람 소리와 웅장하게 뻗어 나간 산맥들과 발밑을 휘감아 흐르는 깊고 푸른 강물이 지친 마음을 씻어내고, 새로운 삶의 지혜와 의지가 솟아오르는 것을 경험할 수 있을 것이다.

(제천 문화관광 소개)



학사정 아래 흐르는 하천



구학교에서 바라본 학사정 전경



펜션과 가든


탁사정으로 오르는 나무계단길



탁사정 노송





탁사정에 올라와



탁 사 정






탁사정에서 내려다본 구학교와 제천천



나무계단길 옆에 곱게 도색한 주택



탁사정에서 내려와 본 구학정 방면




하천건너 모습



구학교 건너 주차장으로


주차장에 자리한 어린이집 같은 화장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