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원,유적지/공 원,유원지

월미도 월미공원의 한국전통정원

 

월미공원의 한국전통정원

 

인천역에서 월미도로 가는길(월미로)

 

 

월미공원(한국전통정원) 정문

 

공원길 위 모노레일은 인천약에서 월미도를 한바퀴 도는 바다열차로

현재 시험운행 중이며 개통일이 10월8일 이랍니다 

 

-어서오십시요-

 

 

 

 

 

 

공원안내소

 

 

 

 

 

 

 

 

전통정원 정문

 

 

 

 

 

 

 

 

 

 

 

 

 

 

 

 

 

 

 

 

국담원

 국담원은 관군이 주재성의 공을 기리기 위해 18세기 초 경남 함안군 칠원면 무기리에 별서 정원으로 풍욕루, 하환정, 충효사, 영정각, 국담, 영귀문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국담은 정방형의 연못으로 중앙에 당주라고 불리는 방도가 있으며 물에 근접할 수 있는 계단과 좁은 단이 조성되어 있다. 본 공원에서는 국담, 하환정, 중도를 재현하였다.

 

 

 

 

 

 

 

 

 

 

소쇄원

  소쇄원은 양산보가 1520년~1577년 사이 전남 담양군 남면 지곡리에 조성한 별서정원으로 내원(담장

으로 둘러쳐진 공간)과 외원(마을 쪽의 계곡을 따라 올라가 뒷산인 옹정봉에 이르는 공간)으로 구성되어 있다. 내원은 크게 대나무 숲이 있는 진입공간과 대봉대와 애양단이 있는 공간, 계류와 광풍각이 있는

공간,제월당과 화계가 있는 공간으로 구분된다. 본 공원에서는 소쇄원도를 기초로 하여 소쇄원의 담장,

화계, 초정 연못 등을 재현하였다.


 

 

 

 

 

 

월 휴 정

 정자에서 전통정원을 내려다보며 휴시과 사색을 할수 있는곳 

 

 

 

 

월휴정에선 본 습지원

 

 

 

 

 

 

 

 

 

 

 

 

 

 

 

 

민가(초가)

조선시대 중부지방 서민주택의 건축적 요소를 반영하여 조성

 

 

 

 

 

 

 

 

 

 

월미폭포

전통정원 내에 조성된 인공폭포

 

 

 

 

 

 

 

 

 

 

 

 

 

 

 

서석지

 서석지는 정영방이 1610년~1636년 사이 경북 영양군 입암면 연당리에 조성한 별서정웜으로 주생활

공간인 내원, 가시권 내의자여경승 및 전원공간인 외원을 둘러싼 영향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공원에서는 서석지의 주요 경관요소인 서석지와 경정의 주춧돌, 사우단, 행단, 담장, 60여개에 이르는 서석군 등을 재현하였다.

 

 

 

 

 

 

 

 

 

월 휴 담

월휴정을 감싸고 있는 연못

 

 

 

 

 

 

 

 

 

 

사 슴 원

사슴이 먹이를 먹으며 안마당을 뛰어 노는곳

 

 

 

 

 

 

 

 

 

 

 

창덕궁 후면에 위치한 연꽃이 피는 연못인 애련지를 재현 하였다

 

 

 

 

 

 

 

 

 

 

 

 

 

 

 

월미마당

각종 행사와 전통문화 체험이 이루어 지는 곳이다

 

 

 

 

 

 

 

 

제물포마당

항구도시 인천을 상징하여 조성한 공간이다

 

 

 

 

 

 

 

 

한국전통정원을 둘러보고 정문을 나와 만남의광장으로

 

 

 

 

만남의광장에서 잠시 휴식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