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원,유적지/공 원,유원지

임진왜란 3대 대첩지 행주산성


행주산성

경기도 고양 행주내동() 있는 산성. 임진왜란 권율() 장군 왜적 크게 물리친 싸움터이다. (사적 56호)


○탐방코스: 대첩문-권율장군동상-충훈정-잔디광장,쉼터-토성-충장사-대첩기념관-덕양정-충의정-행주대첩비-진강정-대첩문


행주산정 정문 대첩문





대첩문을 들어서면 우측에 권율장군 동상이 있다


충장공 권율 도원수 동상

1986년 건립되었으며 높이는 5m, 좌대높이는 3.35m로 근대조각가 김세중의 작품이다. 동상 뒤편의 4폭의 부조물은 해주대첩 당시 관군, 승병, 의병, 여성들의 치열한 항전

모습이다.


대첩문에서 우측으로 100여m에 충훈정이 있다


충훈정(국궁장)

1986년 건립한 국궁장으로 우리나라의 옛 주력 무기이기도 했던 국궁연습장이다



충훈정을 둘러보고 다시나와 권율 장군 동상 앞에서 해주산성으로 올라간다



잔디광장 입구에 "권율장군과 동산동 밥할머니" 이야기 안내판이 세워져 있다 

-조선 최초의 여성 의병장, 행주치마와 노적봉의 전설-


1592년, 임진왜란을 일으킨 일본이 불과 20일만에 서울(한양)을 함락시키고,선조임금은 함경도로 피신하면 명나라에 지원군을요청하여 고양에서는 권율장군이 조.명 연합군을 이끌고 있었다. 이때 북한산 부근의  대부호 문씨 집안에서 총명한 며느리로 이름난 여장부 해주오씨가 있었다.

그녀는 북한산 봉우리를 볏집으로 감싸 군량미를 쌓은 노적가리처럼 위장하고, 냇물에 석회가루를 풀어 흘려보낸 후,왜군들에게 " 조선군 주둔지에는 산더미 같은 군량미가 쌓였는데, 이 뿌연 물은 북한산에 주둔한 수 만명 군사의 밥 짓는 쌀뜨물이다"라고 속여 허기진 배를  석회물로 채우게 하고 복통 설사를 일으켜 사기를 꺽어 퇴각시키는 지혜를 발휘하였다. 이후로 위장했던 북한산 산봉우리를 노적봉이라 불렸다.

그 후에 오씨는 인근의 부녀자들을 모아 여성 의병대를 조직하고전쟁에서 군인들에게 밥을 지어주고 부상병을 치료하였다. 이때부터 사람들은 오씨를 밥할머니라 불렀다.



1593년 2월 12일 행주산성에는 권율장군이 이끄는 1만명의 조.명 연합군과 3만명의 왜군이 치열한 격전을 벌였다. 시간이 갈수록 성안엔 무기가 떨어져  불리하게 되자, 밥을 짓고 부상병을 돌보던 여성 의병장 밥할머니는 여자들에게 앞치마에 돌을 주어 나르게 하고, 군인들이 돌을 무기로 쓰게하여 대승을 거두게 하는 지혜를 발휘하였다. 이 전투가 바로 행주대첩이다.

전쟁이 끝난 후 인조는 밥할머니의 공적을 인정하여 정경부인에 봉하였고, 후세 사람들은 밥할머니의 석상과 비석을 북한산이 잘 보이는 창릉모퉁이에 세워 호국 정신을 기렸다.


<밥할머니 석상-경기도 향토문화제 제46호>


잔디광장



쉼터(사전전시대)






토성-대첩비-충장사 가는 갈림길



행주산성(토성) 으로 가는길


행주산성 토성

토성의 총 길이는 약 1km이며 1992년 415m가 복원되었다. 삼국시대 기와및 토기 파편들이발견되어 삼국시대 부터 중요한 군사적 요새였음을 알려준다.




행주산성 토성을 따라 올라가면 행주대첩비 아래 충의정 뒷편이다




토성, 대첩기념관,대첩비↑, 충장사 갈림길


먼저 충장사로 갑니다(100m)


충장사 홍살문




충장사 삼문(門)



충 장 사







권율 장군 영정



충장사 전사청

사를 맡아보는 관아


충장사를 나와 길을 따라 오르면 대첩기념관, 행주대첩비로 가는 길이다  


삼거리애서 우측 대첩기념관 으로 갑니다



대첩기념관

유물전시관으로 행주대첩 당시 무기고와 군량창고로 추정되는 곳에 1980년 건립하였다. 전시물은 화차, 시기전(기), 총통(기), 등 무기류와 대첩기록화, 대첩비문 탁본, 권율 장군

친필, 기타 산성에서 발견된 유물등이 있다. (기념관은 사진촬영이 금지되어 있다)



대첩기념관을 나와 행주대첩비로 올라간다




덕양산 정상의 행주대첩비


오름길 왼편에 한강 전망이 좋은 덕양정 이다

뎍양정은 1970년 건립한 정자로 한강과 인근의 서울과 김포시, 고양시 등을 조망할 수

있는 전망이 좋은 곳이다


덕양정에서 본 전경



양화대교 방면



행주대첩비



강변북로 난지도 방면


북한산 방면




충 의 정

1977년 건립한 영상교육관으로 "임진왜란과 행주대첩 승리"에 대한 영상물을 상영한다




토성으로 내려 가는길



행주대교-김포대교 방면


고양 덕양구 방면



행주산성에는 2개의 행주대첩비가 있다

〈행주대첩비(초건비)와 신 행주대첩비〉



행주대첩비(초건비)

 

대첩비각 안에 있는 초건비는 경기도 문화제 제74호로 1602년(선조36) 권율 장군이 돌아가신 후 휘하 장수들이 뜻을 모아 세운 것이며 행주대첩의 승전 과정을 상세히 기록 하였다. 조선 최고의 문장가인 최립의 문장과 명필 한석봉의 글씨였으나 현재는 마모되어

식별이 어렵다.


신 행주대첩비


정상의 신 행주대첩비는 15.2m 높이의 석탑이며, 1970년 행주산성 정화사업으로 건립한 것으로 앞면의 "幸州大捷碑"는 박정희 대통령의 끌씨이다.


신 행주대첩비에서 내려다본 전경 



덕양정 아랫길에서 100여m 내려가면 진강정이 나옵니다




진 강 정

1970년 건립한 정자로 한강변을 경치를 조망할수 있다. 진강정 아래는 한강변을 끼고

행주산성공원으로 아어지는 행주산성역사누리길이 연결되어 있다.



진강정을 둘러보고 다시 올라와 행주산성 입구 대첩문으로 내려간다



 대첩문이 보인다


출발지 대첩문에 도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