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양도성길: 4:백악코스
한양도성길
4.백악 코스
구간:창의문-혜화문
(지역:종로구, 거리4.7km)
창의문~백악산~청운대~숙정문~혜화문
창의문에서 백악을 넘어 혜화문에 이르는 구간 이다. 백악(북악산342m)은
옛 서울의 주산으로 내사산(남산,인왕산,북악산,낙산) 중 가장 높다.
산세가 반쯤 핀 모란꽃에 비유될 만큼 아름다운 곳으로
백악을 기점으로 한양도성이 축조되었다.
1968년 1.21 사태 이후 40년 가까이 출입이 제한되다가
2007년 시민에게 개방 되었다.(한양도성길자료)
창 의 문
한양도성에는 동서남북에 4대문(四大門), 그사이에 4소문(四小門)을 두었는데 창의문은 서대문과 북대문 사이의 북소문(北小門)으로 "옳은것을 드러나게 하다"는 뜻이 있다. 서울의 4소문중 유일하게 영조시대의 모습을 간직하고 있다.
창의문 우측 나무계단을 올라가면 창의문 안내소가 있다
창의문 안내소에서 신분을 확인하고 출입증(표찰)을 교부받아
백악마루 가는 한양도성길을 오른다
백악마루 까지오르는 길은 돌계단, 나무계단 길이다
올라온 도성길을 되돌아 본다
紫北正道(자하문 북편산 정의로운 길)
正道(국가안보의 뜻으로 풀이)
첫 쉼터로 돌고래 쉼터 표지판
두번째 백악쉼터
백악마루
1.21사태 소나무
청 운 대
북악산 한양도성 내에서 가장 조망권이 좋은 곳으로 남으로는 경복궁, 광화문 그리고
세종로, 북으로는 북한산의 여러 봉우리를 볼수 있다. 청운대 쉼터에 앉아 옛 육조거리
(현 광화문 광장)와 한눈에 들어오는 경복궁을 바라보며 옛 역사를 되새길수 있다.
백운대에서 바라본 광화문 거리와 경복궁, 저멀리 남산이 보인다
북쪽으로 보이는 북한산의 여러 봉우리
내부 도성길로 들어가는 암문
↑백악 곡성가는길(40m)
백악 곡성에서 바라본 북한산
지나온길을 되돌아본 백악산
숙정문 쪽으로 내려갑니다
촛대바위
촛대를 닮았다고 해서 이름 붙은 촛대바위는
북악산이 처음 개방되었을 때인 2006년4월1일부터 2007년4월4일까지는
숙정문에서 촛대바위 구간만 우선 개방하였다 한다.
촛대바위에서 남쪽방향으로 내려다보면 주변 소나무 숲 너머 경복궁을 비롯한
서울 도심이 한눈에 보이는 최적의 풍광을 볼수있다
촛대바위에서 바라본 경복궁과 세종로
북악팔각정
삼 청 각
숙 정 문
숙정문은 한양도성의 북대문이다. 처음에는 이름이 숙청문(肅淸門)이었으나 후에
숙정문(肅靖門)으로 바뀌었다. 현존하는 도성의 문 중 좌우 양쪽으로 성벽이
연결된것은 이 문이 유일하며, 1976년에 문루를 새로 지었다.
현재 보수공사 중 이네요
말바위 안내소
창의문 안내소에서 교부받은 출입증을 말바위 안내소에서 반납하였다
말바위 전망대
북악팔각정과 그아래 삼청각
저멀리 수락산과 불암산
잠실방향 롯데월드타워
지나온 길을 되돌아본 백악산과 숙정문
말 바 위
말바위에서 바로 내려가면 삼청공원으로 가는길이고 혜화문으로 가기 위하여
말바위전망대 계단길로 되돌아 외부성벽 순성길을 따라
와룡공원 방향으로 향한다
와룡공원 방향으로 가는 외부도성길
와룡공원입구 암문으로 들어와 정자앞을 지나
내부순성길을 따라 계속 내려갑니다
성벽을 따라 혜화문 방향으로 내려 갑니다
좌측 성벽은 끝나고 성북동 도로로 내려가서 마을 골목길로 갑니다
골목길로 가다가 혜화문 가까이에서 성벽이 이어지네요
혜화문 옆 성벽
혜화문으로 가는 뒷길
혜 화 문
한양도성의 동북쪽 문이다. 창건 당시에는 홍화문(弘化門)으로 불렀으나 1511년(중종6)에 혜화문(惠化門)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영조 때에는없던 문루를 지어 올렸다.
문루는 1928년에, 흥예는 1938년에 헐렸는데, 1944년에 본래보다
북쪽으로 옮긴 자리에 문루오 흥예를 새로지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