덕수궁 돌담길
덕수궁
덕수궁은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의주로 피난 갔던 선조가 다시 한양으로 돌아왔을 때, 월산대군 저택과 그 주변 민가를 여러 채 합하여 ‘시어소’로 정하여 행궁[정릉동 행궁]으로 삼았던 것으로부터 시작됩니다. 이후 광해군이 즉위한 후 창덕궁으로 거처를 옮기면서 ‘경운궁’이란 이름을 사용하게 되었습니다. 궁궐의 모습을 갖춘 덕수궁은 인목대비 유폐와 인조반정을 겪으면서 규모가 축소되었고, 특히 인조가 즉위한 이후 즉조당과 석어당을 제외한 나머지는 원래 주인에게 돌려주었습니다. 이로써 덕수궁은 더 이상 왕이 공식적으로 머물며 국정업무를 보던 궁궐의 기능을 하지 못하였습니다.
1895년 을미사변이 일어난 이후 덕수궁이 다시 역사에 등장하게 되었습니다. 을미사변으로 신변의 위협을 느낀 고종이 러시아공사관으로 거처를 옮긴 후, 1897년 2월에 덕수궁으로 환궁하게 되었습니다. 또한 대한제국이라는 황제국을 선포한 후 황궁으로서의 규모와 격식을 갖추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1904년 덕수궁 대화재와 1907년 고종의 강제퇴위 이후 덕수궁은 그 규모가 대폭 축소되었습니다. 이때 경운궁에서 덕수궁으로 이름 또한 바뀌게 되었습니다.(문화재청 덕수궁관리소 덕수궁이야기}
덕수궁의 정문 대한문(大漢門)
덕수궁(德壽宮)
대한문에서 수문장교대식을 하는 모습, 마치는 시간인가보다
안으로 들어오니 대원들이 수문장교대식을 마치고 모여있네요
덕수궁 진입로변에 단풍이 곱게 물들어 있다
덕수궁탐방코스
대한문-광명문-행각-함령전-덕흥전-정관헌-중화문-중화전-석어당-즉조당
-준명당-석조전-미술관-중화문-대한문-덕수궁돌담길 한바퀴
덕수궁 안내도
광명문(光明門)
광명문은 고종이 기거하던 함녕전으로 들어가는 문으로 대한제국 시기에 건립되었다. 1919년 고종이 함녕전에서 승하하자, 국장 때 고종의 관{재궁梓宮]이 광명문을 통해 나갔다.
일제강점기에 덕수궁이 크게 훼손되면서 광명문 좌우에 있던 행각이 철거되었고, 1930녀대 광명문도 중화문의 서남쪽으로 옮겨졌다. 나중에는 광명문 안에 물시계인 흥천사명 동종을 보관하기도 하였다. 덕수궁 권역의 복원을 진행하면서 2018년 12월, 광명문은 원래의 자리로 돌아오게 되었다.
행 각
함 녕 전
덕 흥 전
정 관 헌
덕수궁 안에 있는 양관 가운데 하나. 함령전 북쪽에 있으며 1900년 이전에 지은 것으로
짐작된다. 고종의 연유 장소로 사용되었으며, 양옥이라고는 하나 팔작지붕 등
전통목조건축의 요소가 많이 있다.
중화문(中和門)
중화전(中和殿)
덕수궁의 정전. 중화문과 함께 보물 제819호로 지정되어 있다. 본격적인 궁궐 중건이 이루어지기 전에는 즉조당을 정전으로 사용했으나 1902년 중화전이 세워지면서 정전의 면모를 갖추게 되었다. 1904년 화재로 소실되었는데, 1905년 중건되면서 원래 2층이던
것이 1층이 되었다.
석 어 당
즉 조 당
즉조당 좌편 준명당
석어당 모퉁이 살구나무
석 조 전
국립현대미술관 덕수궁관
중화문 앞에서 대한문으로
대한문 옆 정원
대한문 후면
수문장교대식을 준비하여 대기중인 대원들
대한문광장에서는 수문장교대식이 진행중이다
수문장교대식을 구경하고 덕수궁 돌담길으 따라 한바퀴 돌아본다
정 동 로
덕수궁 후문 평성문
여기서 덕수궁돌담길 바깥길에서 안길을 돈다
노목의 모습
덕수궁돌담길 안길에서 바깥길로 나간다
서울도시건축 비엔날레
서울도시건축전시관에서 돌담길을 따라 가면 대한문이다
덕수궁 돌담길을 한바퀴 돌아 대한문에 도착하다